본문 바로가기
Life

증여세 면제 한도액, 부부 손자 자녀 사촌 증여세

by lucky7 2021. 1. 23.
반응형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알아보는 세금과 증여세

 

[증여세 면제 한도액 = 증여세] 증여세 면제 한도액을 알아보면서 세금 이야기부터 살펴보죠. 우리는 가게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구입한 상품에는 10%에 해당하는 세금이 포함돼 있고 소비자는 세금이 포함된 값을 내고 상품을 구입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상품값에는 항상 포함돼 있는 부가가치세 세금 이지만 우리는 소비자 본인이 세금이 포함된 상품의 값을 치르지고도 잘 모르는 세금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잘 모르는 세금이기도한 세금 중에 증여세라는 세금이 있습니다.

 

자식이 결혼을 준비중이라면 부모는 보편적으로는 전세자금을 어는 정도는 보태여 주려는 마음입니다. 그렇게 부모로부터 독립할 때 전세자금 등을 보탬받을 때 받는 금액이 증여세 과세 대상입니다.

 

전셋값이 많이 올라가면서 전세자금을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기도 합니다. 그렇게 지원받은 전세자금 등은 증여세로 누락되지만 고의적 탈세로 고발 조치를 먹이는 일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당연히 연체 명목상의 법정 세금은 더 내게 된다고 합니다. 그때그때 증여세 잘 내고 관리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식에게 증여 할수 있는 면제액 5,000만 원을 초과하는 전세자금의 증여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신고 납부해야 한다고 합니다. 부모님이 아들에게 3억 원을 증여했다면, 5,000만 원을 제외하고는 2억 5000만 원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납부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부부로부터 재산 등을 자식이나 손자에게 또는 부부간에 증여를 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증여세와 면제 한도액 대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금에는 절세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증여세 세금의 부담을 줄이는 한도를 잘 알아두면 절세를 할 수가 있습니다. 세금의 부담을 줄이는 한도 절세의 이야기를 하다 보면 영화 "쇼생크 탈출"이 생각나기도 합시다만.

 

 

누구가 증여를 했느냐에 따라서 세금 세율의 증여세가 다르게 된다고 하는데요.

 

부부간 배우자에게 증여의 경우는 6억원

부모가 성년인 아들 딸의 경우에는 5천만 원

미성년자인 자식 자녀의 증여 2천만 원으로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정해져 있고,

 

구분 증여세 면제 한도액
부부간 배우자 6억원
부모가 성년인 아들 딸의 경우 5천만원
미성년자인 자식 자녀 2천만원
친족 혈족 6촌 이내 4촌 이내의 친족 1천만원

 

요즘 손자 바보라는 유행어처럼 내리 손자 💕 사랑을 제산 증여로 많이 하는데요. 손자에게 증여하는 손자일 경우는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5천만 원으로 증여세 면제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혈통이 이어진 친족 혈족 6촌 이내 4촌 이내의 친족의 형편인 경우에 증여세 면제 한도액이 1천만 원까지 면제가 된다고 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 액수로 보면 💑 부부간 배우자 상대로의 증여 금액이 큰 한도를 볼 수 있네요. 아들, 딸, 손자, 증손자에게 증여할 경우 큰 혜택의 이익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부부간 증여 금액으로 보면 그리 많이 크지 않습니다.

 

물론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증여세 면제 한도액의 배우자는 법적 혼인 사실 관계인 부부입니다.

 

증여세 상속 우선순위

 

기본 증여세 과세 표준액

◆1억 이하 10%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20%

◆5억 이상 ~ 10억 이하 30%

◆10억 초과 ~ 30억 이하 40%

◆30억 초과 50%가 적용된다는 점도 꼭 알아두세요.

 

<관련 글 보기>

국세청 상속세 개요

 

 

반응형

댓글